책 많이 읽어.
마음이 따뜻하고 인간적인 의사였으면 좋겠어.
마음이 따뜻하고 인간적인 의사였으면 좋겠어.
라는 글과 함께 방명록에 친구 누나가 올린 글을 보고 이렇게 가져왔다.
장영희 (서강대학교 영문과 교수)
지난 번 학회 모임에 갔을 때다. 학회가 끝나고 식사하는 자리의 화제는 대학에서 새롭게 변화하는 교과과정이었다. 눈만 뜨면 무섭게 변해 가는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대학도 변화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 대학마다 시대에 부응하고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새로운 과목을 개설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과정에서 많은 대학들이 영문학 과목들 대신 영어 관련 실용 과목--실무 영어, 관광 영어, 토익 영어 등으로 대체해서, 선생님들이 오랫동안 가르쳤던 과목을 더 이상 가르칠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이었다.
그 중 어느 지방대학교에 계시는 선생님이 말씀하셨다. ‘미국문학’, ‘영문학 개론,’ 다 뺏기고 겨우 ‘아동문학’ 하나 지켰지요. 학생들이 초등학교 영어 방문교사로 취업할 경우 꼭 필요한 과목이라고 우겨서 겨우 남긴 거예요. 문학은 실용성이 없어 시대에 안 맞는 분야라는데 할 말이 없더군요. 문학 수난시대입니다.”
문학 과목 감소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 같고, 그래서 농담반 진담반으로 이제 우리 ‘밥그릇’ 걱정을 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말씀하시는 선생님도 계셨다. 휴대폰 하나로 모든 통신이 이루어지고 가시적 실용성, 유효성만이 가치척도가 되는 이 시대에 문학이 설 자리는 점점 좁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문득 언젠가 미국의 어느 의대 교수와 우연히 만난 좌석에서 나눈 대화가 생각이 났다. 부끄러운 말이지만 그의 영미문학에 관한 지식은 명색이 일생을 문학을 공부한 나에 못지않았다. 전공도 아닌데 어떻게 그렇게 문학에 관한 지식과 관심이 많으냐는 나의 질문에 그는 학부 때 많은 문학 관련 교양과목을 들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하버드 의대나 MIT 공대 교과과정에는 교양필수로 문학 과목이 거의 반 이상이라는 것이다.
의학이나 이공계통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왜 문학을 공부시키느냐는 나의 질문에 그 교수는 사뭇 진지하게 말했다.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초음파 검사를 하기 위해 어떤 사람의 내장을 보고 위 속을 들여다보면 그 사람의 육체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성이 느껴집니다. 선하고 마음이 평화로운 사람인지 갈등이 심하고 괴로운 사람인지 짐작이 가지요. 인간의 마음과 몸은 신비롭게 연결되어 있고, 육체만 보는 것은 진정한 의사가 아닙니다. 나도 그와 똑같은 인간이기 때문에 함께 공유하는 마음으로 그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저는 그것을 문학을 통해 배웠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이기 때문에 함께 공유하는 마음--즉 문학이 가르치는 것은 다른 사람도 나와 같은 인간이기 때문에 느낄 수 있는 고뇌와 상처를 이해하는 능력이고, 그 어떤 학문도 이러한 인간이해가 없이는 성립될 수 없다는 말이었다.
그러나 이것도 내게 흡족한 답을 주지는 못했다. 모든 것을 가시적인 생산성으로 가치판단 하는 시대에 문학의 의미가 무엇일까? 책이라는 매개체 자체를 버거워하는 소위 ‘영상세대’인 우리 학생들에게 문학은 무엇일까? 아니, 무엇보다 나는 왜 문학을 하는가?
그런데 이번 학교장 추천 입학 면접을 하면서 나는 뜻밖의 답을 얻었다. 별로 큰 기대 없이 어느 학생에게 “문학하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이라고 생각하는가?”라고 질문했다.
잠깐 생각하더니 그 학생은 “문학하는 사람들은 이 세상이 조금 더 아름다워질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답했다.
이제껏 유명한 석학의 현학적 이론을 많이 읽었어도 나는 이보다 더 멋진 정의를 보지 못했다. 맞다. 문학 작품을 읽으면서 우리는 대리경험으로 치열하게 고통과 갈등을 극복하고 더 아름다운 사람들이 되는 인물들을 만나고 따라서 너와 나가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배운다.
문학 수난시대라지만 이 세상이 조금 더 아름다워질 수 있다는 희망을 갖고 돈 안 되고 밥 안 되어도 여전히 소설 쓰고 시 쓰는 사람들이 있고, 또 읽어주는 사람들이 있고, 문학의 힘을 믿어주는 순수한 젊은이들이 있는 한, 내 밥그릇은 당분간 무사할 것 같다.
출처 : 책읽는 네이버 블로그
지난 번 학회 모임에 갔을 때다. 학회가 끝나고 식사하는 자리의 화제는 대학에서 새롭게 변화하는 교과과정이었다. 눈만 뜨면 무섭게 변해 가는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대학도 변화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 대학마다 시대에 부응하고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새로운 과목을 개설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과정에서 많은 대학들이 영문학 과목들 대신 영어 관련 실용 과목--실무 영어, 관광 영어, 토익 영어 등으로 대체해서, 선생님들이 오랫동안 가르쳤던 과목을 더 이상 가르칠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이었다.
그 중 어느 지방대학교에 계시는 선생님이 말씀하셨다. ‘미국문학’, ‘영문학 개론,’ 다 뺏기고 겨우 ‘아동문학’ 하나 지켰지요. 학생들이 초등학교 영어 방문교사로 취업할 경우 꼭 필요한 과목이라고 우겨서 겨우 남긴 거예요. 문학은 실용성이 없어 시대에 안 맞는 분야라는데 할 말이 없더군요. 문학 수난시대입니다.”
문학 과목 감소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 같고, 그래서 농담반 진담반으로 이제 우리 ‘밥그릇’ 걱정을 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말씀하시는 선생님도 계셨다. 휴대폰 하나로 모든 통신이 이루어지고 가시적 실용성, 유효성만이 가치척도가 되는 이 시대에 문학이 설 자리는 점점 좁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문득 언젠가 미국의 어느 의대 교수와 우연히 만난 좌석에서 나눈 대화가 생각이 났다. 부끄러운 말이지만 그의 영미문학에 관한 지식은 명색이 일생을 문학을 공부한 나에 못지않았다. 전공도 아닌데 어떻게 그렇게 문학에 관한 지식과 관심이 많으냐는 나의 질문에 그는 학부 때 많은 문학 관련 교양과목을 들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하버드 의대나 MIT 공대 교과과정에는 교양필수로 문학 과목이 거의 반 이상이라는 것이다.
의학이나 이공계통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왜 문학을 공부시키느냐는 나의 질문에 그 교수는 사뭇 진지하게 말했다.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초음파 검사를 하기 위해 어떤 사람의 내장을 보고 위 속을 들여다보면 그 사람의 육체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성이 느껴집니다. 선하고 마음이 평화로운 사람인지 갈등이 심하고 괴로운 사람인지 짐작이 가지요. 인간의 마음과 몸은 신비롭게 연결되어 있고, 육체만 보는 것은 진정한 의사가 아닙니다. 나도 그와 똑같은 인간이기 때문에 함께 공유하는 마음으로 그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저는 그것을 문학을 통해 배웠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이기 때문에 함께 공유하는 마음--즉 문학이 가르치는 것은 다른 사람도 나와 같은 인간이기 때문에 느낄 수 있는 고뇌와 상처를 이해하는 능력이고, 그 어떤 학문도 이러한 인간이해가 없이는 성립될 수 없다는 말이었다.
그러나 이것도 내게 흡족한 답을 주지는 못했다. 모든 것을 가시적인 생산성으로 가치판단 하는 시대에 문학의 의미가 무엇일까? 책이라는 매개체 자체를 버거워하는 소위 ‘영상세대’인 우리 학생들에게 문학은 무엇일까? 아니, 무엇보다 나는 왜 문학을 하는가?
그런데 이번 학교장 추천 입학 면접을 하면서 나는 뜻밖의 답을 얻었다. 별로 큰 기대 없이 어느 학생에게 “문학하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이라고 생각하는가?”라고 질문했다.
잠깐 생각하더니 그 학생은 “문학하는 사람들은 이 세상이 조금 더 아름다워질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답했다.
이제껏 유명한 석학의 현학적 이론을 많이 읽었어도 나는 이보다 더 멋진 정의를 보지 못했다. 맞다. 문학 작품을 읽으면서 우리는 대리경험으로 치열하게 고통과 갈등을 극복하고 더 아름다운 사람들이 되는 인물들을 만나고 따라서 너와 나가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배운다.
문학 수난시대라지만 이 세상이 조금 더 아름다워질 수 있다는 희망을 갖고 돈 안 되고 밥 안 되어도 여전히 소설 쓰고 시 쓰는 사람들이 있고, 또 읽어주는 사람들이 있고, 문학의 힘을 믿어주는 순수한 젊은이들이 있는 한, 내 밥그릇은 당분간 무사할 것 같다.
출처 : 책읽는 네이버 블로그
"생각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00% 공감 (댓글 3개 / 트랙백 0개) 2005/01/15
- 결혼식 날. (댓글 0개 / 트랙백 0개) 2004/11/19
- 이것 또한 곧 지나가리라 (댓글 0개 / 트랙백 0개) 2004/11/15
덧글을 달아 주세요
도연 2006/01/22 22:38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갑자기 나도 누나가 있으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엄마~ 누나 만들어주세요;;
飛정상 2006/02/06 10:23 고유주소 고치기 답하기
좋은 글입니다.